길상사와 길상화
삼청각, 청운각과 더불어 한시대를 풍미했던 최고급 요정 대원각 이
"길상사" 라는 사찰로 다시 태어났다.
대원각 주인 김영한 여사의 뜻으로 대원각을 대한불교 조계종 송광사 분원으로 등록
1996년 5월 20일에 대원각은 기존 건물을 개보수, 길상사가 되었다.
여느 사찰의 일주문과는 다르게 사천왕이나 화려한 탱화가 보이지 않았다.
극락전의 전경
대원각일 때에는 "금실" 과 "은실" 이 있던 자리임.
지장도량 길상사는 아미타부처님을 중앙으로
왼쪽엔 관세음보살 오른쪽에 지장보살님을 봉안하였다.
사찰의 코스모스는 또다른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는듯 하다.
가련헌 자태가 한껏 단장한 옛여인의 모습 일까....
아직 붉은 상사화가 몇송이 남아있다.
꽃무릇 이라고도 하고 석산 이라고도 하는 꽃...
철이 지나서인지 많이 시들어 대공만 남아 있는게 많다.
옛날 한여인이 스님을 사랑해 매일을 그리워 하였지만 결코 만날수 없는 인연
안타까운 마음으로 절 앞마당에 꽃을 심었는데
잎이 진다음에 꽃이피고, 꽃이 진다음에 잎이나니
꽃과 잎은 영원히 만날수 없는 인연
이 여인의 운명과 흡사하여 상사화라 부르지 않았을까...
종각이 있는 자리는 옛대원각 시절엔 경비실이었음.
吉祥寺는
1960년대와 80년대 말까지 삼청각,청운각과 함께
최고급 요정의 하나였던 대원각자리에 세워진 사찰이다
성북동 三角山 자락에 위치해있던 대원각의 주인 김영한(金英韓)여사가
7000여평의 대지와 건물 40여동 등 천억원대의 부동산을
법정스님에게 시주해 97년에
싯가 천억원 대 재산을 시주하겠다는 김영한 할머니
무소유를 말씀하시며 받지않겠다는
결국, 대원각을 대한불교 조계종 송광사
이날 법정스님은 김영한 할머니에게 길상화 법명을 주고
그후 길상화는 길상사 경내를 산책 하다가 유언하였다.
"나 죽으면 화장해 눈 많이 내리는 날 길상사에 뿌려주세요. "
그해 12월14일 흰눈이 많이 내리던 날,
그녀의 유언대로 길상사 경내에 스님들이 재를 뿌려주었다.
길상사 개원 법회엔
2000년엔 천주교신자인 최종태씨가
성모마리아상과 유사한 형태의
이러한 연유로 길상사에선 수녀님과



천주교신자인 최종태씨가 기증한
성모마리아상과 유사한 형태의 관세음보살 석상
길상사를 기부한 길상화(吉祥華)
시인 백석(白石)과의 소설 같은 러브스토리

청산학원 3학년 시절의 백석

18세 때의 김영한 (자야 김진향)

서울에서 태어난 김영한은 집안이 몰락하자
가난한 탓에 16살에 몸 약한 신랑에게 팔려갔다.
우물가에서 빨래하는 사이 남편은 우물에 빠져 죽는다.
고된 시집살이 끝에 눈물을 머금고 집을 나온 그녀는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해 스스로 한성 기생 ''眞香''이 되었다.
가무와 궁중무를 배워 서울의 권번가에서
잡지에 수필을 발표할 정도로 미모와 시와 글,
스물 세살때 흥사단과 조선어학회에서 활동했던
스승 신윤국의 도움으로 일본 도쿄로 유학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스승이 투옥됐다는 소식을 듣고 귀국해
함흥감옥을 찾아가지만 면회를 거절당하게 된다.
함흥기생이 되면 지역유지의 도움으로
스승의 모습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하여
신지식 여성에서 다시 기생의 길을 택한 그녀는
시인 백석과 운명적인 만남을 갖게된다.
김영한 보다 네 살 더 많았던 백석은
일본 유학을 마치고 함흥 영생여고 영어교사로 재직 중일때
기생 김영한과 우연히 만나 그는 그녀의 손을 잡고 다짐한다
“죽음이 우리를 갈라놓을 때까지 이별은 없을 것”
하지만 백석 집안에서 아들이
기생에게 빠져있다는 소식을 듣고
서둘러 다른 여자와 결혼을 시키게 된다.
그러나 결혼식날 밤 집을 빠져 나온 백석은
영한에게 달려와 만주로 달아나자고 설득하지만
영한이 거절하자 백석은 1939년 만주로 떠나게 된다
이것이 두 사람 사이에 영원한 이별이 되었다.
백석은 만주를 유랑한 뒤에 광복을 맞아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이미 그녀가 떠난 후
그녀가 서울로 돌아간 뒤였기에 만날 수 없었고
그것이 영원한 이별이 되고 말았다.
평생 백석을 그리워한 김영한은 1996년 2억원을 들여
자신의 연인 백석을 기리는 "백석문학상"을 재정하고
같은 해에 대원각을 시주하였다.
침묵의 집 맞은편 다리를 건너면
무소유를 몸소 실천한
김영한 할머니의 공덕비가 세워져있다.
길상화 보살의 일화
어느날 백석은 진향이 사들고 온 ‘당시선집’을 뒤적이다가
이백의 시 ‘자야오가(子夜吳歌)’를 발견하고는
그에게 ‘자야(子夜)’라는 아호를 지어준다.
‘자야오가’는 장안(長安)에서 서역(西域) 지방으로
오랑캐를 물리치러 나간 낭군을 기다리는 여인
자야의 애절한 심정을 노래한 곡이다.
한때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이백의 춘하추동 오언율시 중에서
가을 편이 ‘장안 달 밝은 밤에’로 소개된 적이 있다.
진나라 때부터 민간에서 불려진 노래로
이백 외에도 중국의 여러 시인들이 ‘자야가’를 썼다.
백석이 하늘에 맺어준 여인에게 ‘자야’라는 아호를 붙여준 것은
자신에게 닥칠 운명을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김영한은 ‘내 사랑 백석’에서 이렇게 회상하고 있다.
‘아마도 당신은 두 사람의 처절한 숙명이 정해질 어떤 예감에서,
혹은 그 어떤 영감에서 이 ‘자야’라는 이름을 지어주셨던 것은 아닐까.’
함흥에서 서울로 먼저 올라온 사람은 자야였다.
백석이 당시로는 최고의 직장인 고보 영어교사직을
그만두게 된 것도 자야 때문이었다.
이런 일도 있었다.
백석은 조선축구학생연맹전 대표선수 인솔 교사로
서울에 올라와서는 학생들만 여관에 투숙시켜놓고
자신은 정작 청진동 자야의 집에서 사랑을 불태웠다.
이 사실이 밝혀져 함흥여고보는 발칵 뒤집혔고
백석은 미련없이 자야의 곁에 있기 위해 사표를 던진다.
백석은 그 녀를 子夜라 불렀는데
子夜가 죽기 열흘전 기운없이 누워있는 노령의 그녀에게
젊은기자가 이렇게 물었다
- 천억원대의 재산을 내놓고 후회되지 않으세요?
무슨후회?
- 그 사람 생각을 언제 많이 하나요?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는데 때가 있나..
기자가 어리둥절 ???
- 천억을 내 놨으니 만복을 받으셔야죠
그게 무슨소용 있어..
- 다시 태어 난다면 어디서.. 다시 한국에서?
나.. 한국에서 태어나기 싫어..
영국쯤에서 태어나서 文學 할꺼야..
- 그 사람 어디가 그렇게 좋았어요?
천억이 그 사람 詩 한줄만도 못해..
다시 태어나면 나도 詩를 쓸거야..
길상화 보살의 또 다른 일화
80평생 보통사람과는 다른 인생을 살다가신 분
서울 대원각 부지에 길상사를 지어 기부하신 이외에
1999년 12월 어느 날 KAIST에
김 영한 여사의 유언장이 전달되었다.
국가과학기술 영재양성에 써달라는 유언과 함께
100억원이 넘는 김영한 여사 소유 부동산을
KAIST에 기부하신 것이다.
생을 마치시는 순간에도 국가과학기술발전을 위해
잔여 재산을 기부하신 아름다운 분이다.
한 남자와 시를 사랑했던 여인 김영한님이시여
이제 고히 잠드소서.
'공유마당 >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가지 건강상식 (0) | 2010.08.26 |
---|---|
피를맑게하는건강식품 (0) | 2010.07.13 |
콜레스트롤에 관한음식 (0) | 2010.06.27 |
많이 걸어야 장수한다 (0) | 2010.06.11 |
자연 비아그라 (0) | 2010.03.29 |